교육부가 고교 맞춤형 교육 활성화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에 간단한 논평을 하고자 한다.
○ 자기주도학습 전형의 문제
- 선발고사를 폐지한다고 하지만 자기주도학습 전형이라는 명목으로 여전히 성적 중심의 선발 체제를 유지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 고교 체제는 서열 위주의 체제를 탈피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선지원 후추첨에 의한 배정을 전면화하여야 함.
○ 고교 학급당 인원보다 시급한 것은 중학교 학급당 인원
- 현재 교사 1인당 학생수가 중학교가 더 높다.(현재 고교 학급당 교사 2명, 중학교 1.6명 배치 기준)
- 중학교의 학급당 인원을 줄이는 것이 더 시급한 과제다.
○ 일반고의 직업계고 전환 추진은 필요하나 점검 기제를 시도교육청 평가에 반영하는 것은 문제
- 직업계고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직업계고 전환을 장려하는 것은 좋으나 시도교육청 평가라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은 문제다.
- 시도교육청 평가는 형평성, 합리성의 문제가 많이 노출된 바 시도교육청 평가에 따른 인센티브 체제는 폐지하여야 한다.
2016. 4. 25
(사) 좋은교사운동
[보도자료] 서울시 의회의 학원 심야영업시간 연장 조례 개정 반대 기자회견 예고 보도자료 (0) | 2016.05.26 |
---|---|
[보도자료] 학원휴일휴무제 법제화를 위한 쉼이 있는 교육 범국민 캠페인 출범식 개최 (0) | 2016.05.02 |
[보도자료] 쉼이 있는 교육을 위한 범국민 캠페인 출범식 개최 (2) | 2016.04.20 |
[보도자료] 교육부의 학생평가 개선 방안 관련 교원 설문조사 결과 보도 (0) | 2016.04.04 |
[성명서]수행평가만으로도 성적을 산출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교육부의 방침을 환영한다 (3) | 2016.03.2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