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정책 포럼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교육정책 포럼

메뉴 리스트

  • HOME
  • 분류 전체보기 (651) N
    • 성명서·보도자료 (640) N
    • 이슈 페이퍼 (6)

검색 레이어

교육정책 포럼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2019/02

  • [성명서] 한유총의 집단 입학연기에 대한 좋은교사운동의 입장

    2019.02.28 by 좋은교사

  • [포럼 결과 보도자료] 현장에서 검증된 기초학력 정책과 사례

    2019.02.01 by 좋은교사

  • [논평 보도자료] 교육부의 학교폭력 대응절차 개선방안

    2019.02.01 by 좋은교사

  • [예고보도] 기초학력정책포럼 예고보도

    2019.02.01 by 좋은교사

[성명서] 한유총의 집단 입학연기에 대한 좋은교사운동의 입장

▲ 아이들의 첫 학교로서 유원이 입학보류, 휴원, 폐원 운운하며 아이들을 볼모로 자신들의 이익을 지키기 위한 주장을 펼치는 것은 어떤 논리로도 정당화될 수 없는 반교육적 행태로 비판받을 것임. ▲ 한유총이 사유재산 침해 운운하며 유아교육법 시행령 개정안을 거부하고 집단적으로 입학 연기를 선언한것은 교육기관임을 포기하는 언행이라 할 것임. ▲ 한유총이 획일적 누리교육과정 폐지를 주장하는 것은 사립유치원이 유아교육의 공공성을 명분으로 받아온 누리교육과정 지원금을 더 이상 사적으로 유용하기 어렵게 되자 나온 주장으로, 그 동안 스스로 주장해온 유아교육의 공공성 주장을 스스로 부정하고, 유아교육을 통해 불법적․탈법적 사익추구를 지속하겠다는 것으로 볼 수밖에 없음. ▲ 유치원에 대한 누리과정 지원금을 국가보조금으..

성명서·보도자료 2019. 2. 28. 16:41

[포럼 결과 보도자료] 현장에서 검증된 기초학력 정책과 사례

[포럼 결과 보도자료] 현장에서 검증된 기초학력 정책과 사례 과학적 증거 기반 접근과 전문성을 기반으로 조기에 집중적으로 개입하는 정책과 함께 학교와 협력하는 전문적인 사회적 일자리 1만개를 제안합니다. ▲ 1/30일, 좋은교사운동은 이룸센터 누리홀에서 ‘현장에서 검증된 기초학력정책과 사례’를 주제로 기초학력정책 포럼을 개최함. ▲ 포럼에는 현장 교사들과 함께 여러 교육청의 업무 담당자, 학습클리닉센터 담당자 등 실질적인 정책 담당자들이 참여하여 기초학력 정책의 좋은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가 되었음. ▲ 발제자로는 김중훈(좋은교사운동 배움찬찬이연구회 대표), 김복실(경기조남초 교사), 이대식(경인교대 특수교육과 교수), 손정환(강원도교육청 교육과정과 장학사), 오승학(강원도교육청 학습클리닉센터 전문가), ..

성명서·보도자료 2019. 2. 1. 14:55

[논평 보도자료] 교육부의 학교폭력 대응절차 개선방안

▲ 좋은교사운동은 이번 조치가 일시적으로는 학교에 가중된 학교폭력 대응의 어려움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고 긍정적으로 평가함. ▲ 학생 간의 관계회복을 촉진하는 프로그램 운영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관계회복 전문가를 양성하겠다고 하는 것은 학교폭력 문제에 대한 교육적 대응의 가능성을 넓힌다는 차원에서 높이 평가할 만함. ▲ 학폭위가 교육지원청으로 이관되더라도 사법 재판이 아닌 교육적 기구라고 하는 원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학폭위 과정에서 회복적 프로세스가 가능하도록 학폭 진행 과정과 학폭위 구성이 설계되어야 함. 이를 위해 변호사 이외에도 갈등조정 전문가가 반드시 학폭위에 포함되도록 해야 함. ▲ 교육부가 제시한 학교자체종결제의 조건을 벗어나더라도 가해자와 피해자 간의 동의와 충분한 사과․화..

성명서·보도자료 2019. 2. 1. 10:56

[예고보도] 기초학력정책포럼 예고보도

- 1/30(수) 오후 2시 이룸센터 누리홀에서 개최 -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좋은교사운동은 1월 30일 수요일 오후2시에 이룸센터 누리홀에서 “현장에서 검증된 기초학력 정책과 사례”를 주제로 정책포럼을 개최할 예정입니다. 우리 사회는 오랫동안 교육 불평등 해소와 기초학력을 보장을 위해 예산을 투입하고 여러 정책적 노력을 해왔지만, 학교 현장에서 효과를 거두기 어려웠습니다. 이는 기초학력 부진 학생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해법에 대한 실증적 근거 없이 정책이 추진되면서 실제 도움이 필요한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이에 ‘좋은교사운동’과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은 ‘학습부진아 살리기 운동’, ‘배움찬찬이 연구 프로젝트’ 등 오랜 시간의 연구와 실천 끝에 실질적인 효과를 ..

성명서·보도자료 2019. 2. 1. 10:55

추가 정보

최신글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교육정책 포럼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